• 최종편집 2023-05-25(화)

한국어에 최적화된 카카오판 ChatGPT ‘냥사부’ 나왔다...대답과 이미지도 척척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3.03.21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1212.jpg

 

카카오톡 채널에서 활용 가능한 AI 기반 이미지 생성 채널 ‘냥사부’라는 AI 챗봇 서비스가 출시됐다.

 

국내 인공지능 스타트업 ‘냥에이아이(냥AI)’에서는 AI 챗봇 ‘냥사부’의 베타(시범) 서비스를 3월 18일부터 시작했다고 밝혔다. 


한국어에 최적화된 고양이 봇  ‘냥사부’는 카카오톡 검색창에서 ‘냥사부’를 검색하면 나타나며, 친구로 추가하면 바로 서비스(https://pf.kakao.com/_sXxlUxj) 이용이 가능하다.

 

‘냥사부’는 Open AI의 ChatGPT를 기반으로 Stable Diffusion과 결합하여 카톡창에서 자연어 대화로 다양한 정보와 지식을 제공하는 AI 챗봇 서비스다. 냥사부 챗봇을 통해 질문을 할 경우, ChatGpt 수준의 답변을 기대할 수 있으며 원하는 이미지 또한 생성이 가능하다.

 

이미지 생성의 경우 Stable Diffusion 모델을 활용하여 이미지를 생성하게 되는데, 원하는 대상을 묘사한 후, "그려줘"라는 키워드를 마지막에 입력하면 원하는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냥사부를 통해 “한강변 자전거 탈 때 주의할 점에 대해 알려줘”라고 묻고 10초~20초 정도 지나 ‘봇 응답받기’를 클릭하자 아래의 화면처럼 5가지의 주의사항을 알려줬다.


또 “여름철 피부를 보호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줘”라고 묻자 아래와 같이 6가지의 피부보호 방법을 알려줬다.

 

제목 없음13.jpg
냥사부를 통한 AI 생성 모델 활용 예시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냥사부에서 “반지의 제왕을 90년대 애니메이션 스타일로 그려줘”하자 아래의 그림처럼 멋진 그림을 그려줬다. 또 “비 내리는 에펠탑 모습을 고흐 스타일로 그려줘” 하자 선명한 색채와 강렬한 묘사기법을 통해 자연의 아름다운 모습을 고흐 화풍으로 그려줬다.

 

제목 없음14.jpg
냥사부를 통한 AI 생성 모델 활용 예시

 

이처럼 ‘냥사부’에서는 Open AI ChatGPT와 Stable Diffusion를 활용하여 카톡에서 사용하는 일반 언어를 사용하여 누구나 쉽게 다양한 정보와 지식을 얻을 수 있으며 원하는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다만,  ‘냥사부’ 개발자는 “이용약관을 통해 “AI의 특성상 이 정보가 항상 정확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냥사부를 사용하다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와 책임은 모두 사용자에게 있다”고 고지하며 답변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

  • 49073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한국어에 최적화된 카카오판 ChatGPT ‘냥사부’ 나왔다...대답과 이미지도 척척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